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꿀팁

임신·출산 지원금 혜택과 바우처 사용 총정리 (최신)

by mango-77 2023. 1. 4.
728x90
반응형

대한민국 출산율이 2021년 0.81명을 거쳐 2022년 0.78명이 예상되면서 역대 최저치를 갱신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올해부터 앞으로 3~4년이 출산율을 높일 수 있는 마지막 시기로 생각해 다양한 지원책을 적극 내놓고 있습니다. 임신과 출산하면 받을 수 있는 지원금과 바우처 사용처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임신출산 지원금 총정리

임신과 출산 진료비 100만원

임신을 하면 주기적으로 산부인과 병원을 방문하기 때문에 관련된 의료비를 국가에서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국민행복카드에 바우처 형식으로 진료비를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1. 지원금액
일태아 100만원, 다태아 140만원, 청소년 산모 120만원

2.지원대상
임신, 출산(유산, 사산 포함)한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및 2세 미만 영유아의 법정대리인

3. 바우처 사용처
산부인과를 포함한 모든 병원 진료비, 약제, 치료재료 구입비

4. 사용기간
임신 기간과 출산일(유산, 사산일)로부터 2년까지 사용 가능

5.임신·출산 진료비 바우처 신청방법
-방문신청
산부인과 병원에서 발급한 ‘건강보험 임신, 출산 진료비 지급신청서’를 가지고 건강보험공단, 카드사(은행), 주민센터, 보건소로 직접 방문해 신청 가능

-온라인 신청
산부인과에서 임신, 출산 정보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등록해 줌→ 카드사, 은행, 공단지사 등에 직접 임산부가 국민행복카드 발급 신청→ 발급한 카드에 바우처 신청

*카드사별 사은혜택이 다르니 비교해서 선택필요(육아앱, 육아 사이트를 통해 가입 시 사은혜택을 더 받을 수 있으니 확인 필요)
*국민행복카드를 발급한다고 진료비 100만원 바우처가 자동 등록되는 것이 아니므로 따로 신청해야 함

-국민행복카드 지원 카드사(은행)
롯데카드, 삼성카드, 우리카드, 신한카드, KB국민카드, NH농협카드, IBK기업카드

임신출산 지원금 총정리

첫만남 이용권 200만원

2022년 1월 1일부터 출생아 1명당 200만원의 바우처(국민행복카드 적립금)을 지급 받을 수 있음. 출생신고 후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아동에 대해서 ‘국민행복카드’를 통해 바우처를 지급함. 

-신청방법
거주지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해 신청하거나 온라인(복지로 혹은 정부24)에서 신청가능

-바우처 사용기간과 사용처
아동 출생일로부터 1년간 사용 가능. 유흥/여행업종, 레저업종 등 지급 목적에서 벗어난 유형으로 분류된 업종을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사용 가능함.

 

부모급여 연간 840만원

2023년에 신설되는 새로운 혜택으로 만 0세 아동에게 월 70만원 (연간 840만원), 만 1세 월35만원(연간 420만원)을 지급함.

2024년 이후로는 만0세 월 100만원(연간 1200만원), 만1세 월 50만원(연간 600만원) 지급해 혜택이 더 크게 적용됨.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로*

2023.01.03 - [유용한 꿀팁] - 부모급여 지급 시기·신청방법·수당·육아휴직 총정리

임신출산지원금 총정리

아동수당 연간 120만원

만 8세 미만의 모든 아동(0~95개월)에게 재산이나 소득기준 관계없이 아동 1인당 월 10만원씩 지급하는 제도.

지급대상
-어린이나 유치원에 다녀도 지급받을 수 있음.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한 아동이어야 하며, 부모가 모두 외국인이더라도 아동이 한국 국적이면 지급 가능함.

신청방법
온라인과 오프라인 신청 가능함 (주소시 관할 주민센터에 방문해 신청하거나 복지로 혹인 정부 24 사이트에서 온라인 신청)

임신출산 지원금 총정리

임산부 교통비 총 70만원  *서울시민 대상자만 해당*

 

임산부의 이동편의를 높이고 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서울시가 전액 시비로 지원하는 제도.

지원대상
-6개월 이상 서울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임산부
-서울시에 거주하는 것이 확인된 다문화 가족 외국인 임산부(부부 모두 외국인인 경우는 제외)

신청방법
-서울시와 협약한 카드사의 임산부 명의의 신용·체크카드 포인트로 지급받을 수 있음
-관할 동 주민센터 방문 또는 정부24, 교통비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도 가능함 (출산 후에는 정부 24에서는 신청 불가함)

-신청기한
임신 3개월(12주차)~출산 후 3개월까지 가능

-사용처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택시) 자가용 유류비

-사용기한
-임신기간 중 신청했다면 분만예정일로부터 12개월까지
-출산 후 신청했다면 자녀 출생일로부터 12개월까지

*임신부 교통비 홈페이지
https://www.seoulmomcare.com/main/main.do

 

서울맘케어 -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서울맘케어 -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홈페이지입니다. 임산부 교통비 지원 신청 및 지원금 사용현황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seoulmomcare.com

 

보건소 임산부 등록 혜택

신분증과 산모수첩 또느 산부인과에서 발급한 임신 확인증을 지참해 보건소 방문하면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음.

-임신 기간에 맞는 무료 영양제 지원
임신 12주 이내 엽산 지원
임신 16주 이후 철분제 지원
출산 후 철분수치가 낮을 경우 추가 철분제 지원

-임산부 배지 및 차량등록증(차량용 임산부 스티커)
출산 후 6개월까지 사용 가능

임신출산 지원금 총정리

지역마다 다른 출산 장려금

출산 장려금은 중앙정부가 아닌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단독 시행하는 제도라 지자체마다 금액이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대도시보다는 출산율이 낮은 중소도시 혹은 시골지역으로 갈수록 혜택이 좋습니다.

본인의 주민등록상 거주지로 된 지역에서 지원되는 내용도 반드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임신육아종합포털 홈페이지에서 각 지역별 출산장려금, 축하금, 선물, 신생아 양육비 지원등 내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임신육아종합포털 홈페이지 (출산 카테고리 누르고→출산 지원금을 누르면 각 지자체 장려금이 나옵니다)
https://www.childcare.go.kr/

 

출산가정 전기세 감면

한전에서는 출산가정에 전기세를 일부 감면해주는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출산 후 신청일이 속하는 월부터 감면혜택이 주어지고 소급 적용이 안되기 때문에 빠르게 신청하는게 이득입니다.


-감면대상
36개월 이하의 영, 유아가 있는 출산 가정

-감면금액
전기요금의 30% (월 최대 16000원)

-신청방법
정부 24 사이트 혹은 복지로 사이트 및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 행복출산 원스토 서비스로 한번에 신청도 가능함.

-이사를 간다면?
이사를 가게 되면 반드시 한전에 전화로 내용을 알려야 이사 간 집에서 감면혜택을 지속해서 받을 수 있음.

728x90
반응형

댓글